전체 글 1675

'복 있는 자들'과 '아노라'

2025 한국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분 당선작 길란의 ‘복 있는 자들’을 읽다. 빈부의 격차가 커져가는 시대의 사회상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엄마와 딸이 경험하는 절망을 실감 나게 그려냈다. 아카데미 작품상(2025)을 받은 영화 ‘아노라’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와도 일맥상통한다는 생각이다. 쳇지피티는 '영화 아노라를 어떤 관점에서 보아야 하나요?'라는 내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영화 **《아노라》(Anora)**는 스트립 댄서로 일하는 주인공 애니(본명 아노라)가 러시아 재벌 2세 이반과 결혼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드라마를 넘어, 사회적 계층과 인간의 욕망, 그리고 자아의 의미를 탐구하는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관람 시 주목할 점: (1) 사회적 ..

미셀러니 2025.03.12

오크리지 트레일 탄소금식 1주차

눈 덮인 산길은 눈부셨다.줄지어 늘어선 고목의 기지개 소리가 들려왔다.두 팔을 뻗어나무인양 서 있었고언덕을 걸으며 김상용 시인의 시를 읇조렸다.남(南)으로 창(窓)을 내겠소밭이 한참갈이괭이로 파고호미론 풀을 매지요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강냉이가 익걸랑함께 와 자셔도 좋소왜 사냐건웃지요2025년 3월 10일 오크리지 트레일 탄소금식 1주 차

미셀러니 2025.03.11

고백(Pleasant Ridge Library in the morning)

"너는 누구인가?나는 모든 것을 지배하는 시간이다.…머리카락은 왜 얼굴 앞에 걸쳐 놓았지?나를 만나는 사람이 쉽게 붙잡게 하려고.그런데 뒷머리는 왜 대머리인가? 내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는 붙잡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지." 한 학생이 엎드려 잠을 잔다. 지금은 아침 9시 30분. 당연히 학교에 있어야 할 시간 도서관 책상 앞에 엎드려 잠자고 있다. 길 하나만 건너면 바로 학교인데. 잠시 후 친구로 보이는 남학생 둘이 책가방을 들고 나타났다. 두 녀석들도 테이블 빈자리에 앉았다. 한 친구가 슬그머니 가방에서 카드를 꺼냈다. 포카라고 불렸던 카드다. 잠자던 학생을 비롯한 세 명의 친구들은 카드놀이를 시작한다. 정숙을 유지해야 하는 장소임을 잊고 떠들어 댄 지는 이미 오래. 사서인 듯 보이는 키카 크고..

미셀러니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