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책 읽기의 만남 <영화와 책 읽기의 만남> 1.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외 보기(영화감상, 미디어)를 선진국에서는 국어교육의 중요한 과목으로 친다. 이를 ‘영화를 읽기’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2. 독서교육과 상관없이 청소년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영화를 많이 보라고 권유하고 싶다. 자녀들이 중학교 고등.. Practice·청소년 2004.06.24
핀란드에서 만난 영어(따온 글) 지난 15일 오후 2시 핀란드 헬싱키 시내 중심부에 있는 핀란디아 홀에서는 제1회 밀레니엄 기술상 수상식이 열렸다. 핀란드 정부가 인류 발전에 공헌한 과학기술자에게 노벨상에 견줄 만한 상을 수여하는 자리다. 핀란드로서는 범국가적 행사인 만큼 식장에는 할로렌 대통령을 비롯해 핀란드의 내로라.. Practice·청소년 2004.06.24
시 읽기의 숨은 의미 어떻게 깨우쳐 줄까 <시 읽기의 숨은 의미 어떻게 깨우쳐 줄까> 1. 자연과 관계되는 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봄을 노래하는 시도 많다. 시가 너무 교과서 속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시와 멀어질 수 있다. 성적을 의식하고 시를 읽으면 시가 재미가 없어진다. 시를 통하여 내 자신의 삶이 풍성해 지고 사물들을 바라볼 .. Practice·청소년 2004.06.21
소설의 숨은 의미 깨우치기 <소설의 숨은 의미, 어떻게 깨우쳐 줄 수 있을까?> 1. 소설을 통하여 인생을 배운다. 이야기(문학이 없는 곳에는)가 끝나는 곳에는 죽음이 있을 뿐이다-‘롤랑 바르뜨’. 소설 속에는 인생이 있고 삶이 있고 생명의 소중함이 있다. 아라비안 나이트-‘사하라자드’라는 여 주인공이 왕에게 해주는 .. Practice·청소년 2004.06.18
아이에게 날개를 달아 줍시다 초등학교 6학년에 다니는 이성주군은 평소 수학성적이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평균 30점 대에서 성적이 맴도니 부모는 벙어리 냉가슴을 알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성주가 수학과목에서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오기 시작했습니다. 그것도 한번이 아닌 두 번, 세 번 연속으로 말입.. Practice·청소년 2004.06.15
논설문 읽기 <주장과 설득이 담긴 글 어떻게 읽도록 할까!-논설문> 1. 독서교육을 책 읽기로 만 한정하지 마라. 주장하고 설득하는 글을 읽게 하면 주장하고 설득하는 토론이나 말하기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말로 토론하고 토론하는 것을 듣는 것도 큰 공부이다. TV에서 나오는 ‘심야토론’ 같은 토론 프.. Practice·청소년 2004.06.11
설명문 읽기와 친해지는 길 <설명문 읽기와 친해 지는 길>1. 지식이나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는 글을 설명문이라고 한다. 2. ‘백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다’, ‘아는 것 만큼 보인다’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라는 책에 ‘아는 것 만큼 보인다’ 라고 썼다. 이미 알고 나서 보면 ‘보.. Practice·청소년 2004.06.10
책들은 대화를 위해 열려있다 <모든 책들은 다른 책들을 향해서 대화하기 위해 열려있다> 1. 책을 쓸 때 작가는 마음속에서 다른 책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2. 대화를 통해서 남들의 정보, 남들의 방식을 받아들일 수 있다. 글을 읽으면서 다른 사람들의 생각, 다른 사람들의 독후감 등을 나누면서 책 읽는 효과나 방식이 달라진다... Practice·청소년 2004.06.10
어떤 대화 <어떤 대화> “단풍이 아름답니? 그건 네 마음이 아름다운 거란다. 아무리 좋은 것도 마음이 없으면 눈에 들어오지 않는 법이거든 걸으면서 바깥만 보지 말고 네 마음 속을 잘 들여다보렴. 단풍보다 더 아름다운 것들이 그 안에 있을 테니까.” 교육이란 “없는 것을 넣어주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있.. Practice·청소년 2004.06.09
내가 만약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아이와 함께 손가락 그림을 더 많이 그리고손가락으로 명령하는 일은 덜 하리라.아이를 바로 잡으려고 덜 노력하고아이와 하나가 되려고 더 노력하리라.시계에게 눈을 떼고눈으로 아이들 더 많이 바라보리라.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더 많이 아는 데 관심 갖지 않고더 많이 관심 갖는 법을 배우리라.자전거도 더 많이 타고연도 더 많이 날리리라.들판을 더 많이 뛰어다니고별들을 더 오래 바라보리라.더 많이 껴안고더 적게 다투리라.덜 단호하고더 많이 긍정하리라.먼저 아이의 자존심을 세워주고집은 나중에 세우리라.힘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보이지 않고사랑의 힘을 가진 사람으로 보이리라.If I had my child to raise all over again,I'd finger paint mo.. Practice·청소년 2004.06.08